안녕하세요~
민화는 우리만의 모습으로 우리만이 그려낸
한국의 정통 그림입니다.
우리만의 정서로 옛날 생활모습을 그린
다른곳에선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색감과 양식의 그림들입니다.
단순히 서민들만 즐긴 그림은 아니며,
사대부와 왕실들까지 두루 감상하던 우리의
정통그림이며 문화입니다.
국내 최초의 민화전문 박물관은
강원도 영월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름은 '조선민화박물관'입니다.
조선민화박물관의 자매관인
'한국민화뮤지엄'이 강진에 자리잡고 있어요.
오늘은 강진의 '한국민화뮤지엄'을 방문해 볼께요.
강진군의 대구면 일대는
고려청자 박물관, 디지털 박물관,
청자촌 오토캠핑장 등
가볼만한 곳이 많은 곳입니다.
또한 강진은 청자빚기 체험, 짚트랙,
가우도레저활동 등
다양한 관광자원들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곳입니다.
다산 정약용의 유배지인 곳이기도 하구요.
민화라하면 낯설게 느껴지시겠지만
매년 전국민화공모전도 열리는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우리의 전통문화의 한 세계입니다.
1층에는 카운터, 체험관 및 교육장, 카페와,
민화관련 기념품샵, VR체험관이 있으며
상설전시설이 있습니다.
2층에는 춘화방(성인전용), 기획전시실, 갤러리코어,
관련제품들 만드는 율아트 사무실이 있습니다.
관계자분이 제가 티켓팅을 끝내자마자
전시실 해설을 준비하셔서
깜짝 놀랬습니다.
안그러셔도 된다고 조용히 둘러보겠다고
말씀드리고 감상을 시작하였습니다.
혹시 민화를 설명과 함께
감상하며 알아보시려는 분들은
해설을 부탁하셔도 좋겠네요.
1층은 상설전시실인데, 촬영금지구역입니다.
때문에 사진을 찍지는 않았고,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민화의 기원, 민화그리는 방법 등을 설명하고
십장생도, 화훼도, 화조도, 모란도, 수거모질도
노안도, 호렵도, 작호도, 운룡도, 봉황도, 책가도,
문자도, 소상팔경도, 인두산수화, 구운몽도, 어해도
신선동자도, 어변성룡도, 어해화조도, 효도
등 다양한 민화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그 독특한 양식과 색감에 감탄하면서 둘러보았습니다.
다양한 그림들의 해석도 달려있으니
재미있게 구경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엔 찾아보기 힘든
부부간의 화합을 이야기하는 그림들은
그림의 아름다움을 떠나서 그 의미에
인상깊었던, 그리고 반성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진의 초중고등학생 500명이
강진이 민화의 고장으로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직접그린 민화가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전시되어 있네요.
2층의 기획전시실은
전국민화공모전의 입상작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파티션으로 가려져있는 곳이 춘화방(성인전용)입니다.
아이들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겠죠.
한,중,일의 춘화서적들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답니다.
갤러리 코어엔 달멍이라는 주제로
초청기획전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2층 기획전시실은
한국민화뮤지엄의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하며
민화가 현대화되어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어서 가장 재미가 있었습니다.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대한민국 민화대전에서 입상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기획전시실의
작품중 인상깊었던 작품 몇가지를
보여드릴께요.
이런 민화와 일반 그림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은 1층 기념품샵에서
민화용품과, 물감을 보고서
희미하게나마 풀렸습니다.
정말 다양한 민화관련 기념품들이 있죠.
다양한 크기의 액자와, 오르골 제품들까지
자석제품들도 많구요
민화그리는 채색 제품과, 용품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골프 볼마커까지
보시는 바와 같이
민화용 물감이 따로 있습니다.
체험관에서 패키지로 다양한 제품들을
만들어 볼수 있답니다.
그리기 좋아하는
몇분이 단체로 미리 준비하셔서
오시면 즐거운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이상 새로운 감각을 열어주었던 민화감상을
마치겠습니다.
1층 상설전시관에 수거모질도가 있습니다.
뭔가 뒤통수를 맞은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이 민화에서 고양이는 장수를 의미하며
괴석은 장수를 상징, 한쌍의 새는 음양의 조합
모란은 부부의 화합과 부귀영화를 뜻합니다.
요즘의 그림들에서는 찾아볼수 없는
좋은 의미를 가지고 있잖아요.
그림을 좋아하고 깨작대긴 하지만,
과연 나는 그런 그림들을 언제 감상하였고,
그런 취지의 그림들을 그려본적은 있었단 말인가.
하면서요.
그림 또한 귀엽고, 기분이 좋아지는 색들로
그려져 있습니다. 너무 인상깊은 민화여서
수거모질도를 검색해서 감상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추간판 탈출증의 걷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의 유배지이자 학당이었던 '다산초당' (2) | 2024.01.08 |
---|---|
예술로의 여행 '광주시립미술관' (2) | 2024.01.05 |
제주도를 볼수 있다는 '완도타워' (2) | 2024.01.02 |
다산 정약용의 모든 것 '다산박물관' (2) | 2023.12.15 |
상상이상의 크기 '완도수목원' (0) | 2023.12.09 |